코모 1907

덤프버전 : (♥ 0)


파일:세리에 B 로고.svg
2023-24 시즌 참가 클럽
[ 펼치기 · 접기 ]


||<tablewidth=100%><tablebgcolor=#ffffff,#191919><height=80><width=25%> 파일:AC 레지아나 1919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칼초 레코 1912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모데나 FC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SSC 바리 로고.svg
||
||<height=80> 파일:베네치아 FC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브레시아 칼초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UC 삼프도리아 엠블럼.svg
||<width=25%> 파일:Spezia_Calcio_logo_2023.png[[파일:스페치아 칼초 엠블럼 화이트.svg
||
||<height=80> 파일:아스콜리 칼초 1898 FC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FC 쥐트티롤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AS 치타델라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US 카탄차로 1929 로고.svg
||
||<height=80> 파일:코모 1907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코센차 칼초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US 크레모네세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테르나나 칼초 로고.svg
||
||<height=80> 파일:파르마 칼초 1913 엠블럼.svg
||<width=25%> 파일:팔레르모 FC 엠블럼.svg[[파일:팔레르모 FC 엠블럼 화이트.svg
||<width=25%> 파일:페랄피살로 로고.svg
||<width=25%> 파일:피사 SC 로고.svg
||
||<-2><bgcolor=#004890> {#ffffff ◀}}} [[파일:세리에 A 로고 가로 화이트.png ||<-2><bgcolor=#950a18,#4b4c4e> 세리에 C 참가 클럽 보기
(그룹 A
· 그룹 B · 그룹 C) ||



파일:코모 1907 로고.svg
코모 1907
Como 1907
정식 명칭Como 1907 S.r.l.[1]
별칭Lariani (코모 호수 / 코모 사람들)
창단1907년 5월 25일 (117주년)[2]
소속 리그세리에 B (Serie B)
연고지롬바르디아 주 코모 (Como)
홈구장스타디오 주세페 시니갈리아 (Stadio Giuseppe Sinigaglia)
(13,600명 수용)
구단주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 자럼 그룹 (Djarum Group)[3]
회장파일:UEFA EURO ENG.png 데니스 와이즈 (Dennis Wise)
감독 대행파일:UEFA EURO ESP.png 세스크 파브레가스 (Cesc Fàbregas)
공식 웹사이트파일:코모 1907 로고.svg 파일:X Corp 아이콘(블랙).svg
파일:페이스북 아이콘.svg 파일:인스타그램 아이콘.svg 파일:LinkedIn 아이콘.svg
우승 기록
세리에 B
(3회)
1948-49, 1979-80, 2001-02
세리에 C
(4회)
1930-31, 1967-68, 1978-79, 2020-21
세리에 D
(2회)
2007-08, 2018-19
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
(1회)
1996-97
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
(1회)
2007-08

1. 개요
2. 역사
2.1. 요약
3. 선수 명단



1. 개요[편집]


코모 호수로 유명한 롬바르디아 주 코모를 연고로 하는 축구팀으로, 현재 세리에 B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다.


2. 역사[편집]


2020-21 시즌 세리에 C 그룹 A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리에 B로 승격을 확정지었다.


2.1. 요약[편집]


  • 1부/세리에 A: 1949-1953, 1975-1976, 1980-1982, 1984-1989, 2002-2003 (13시즌)


3. 선수 명단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0 16:36:01에 나무위키 코모 190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Società a responsabilità limitata / 유한책임회사[2] #[3] 최대 주주. 자럼 그룹 외에도 티에리 앙리 등이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주주로 활동하고 있으며, 자럼 그룹에서 운영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이자 코모의 메인 스폰서를 겸하고 있는 Mola의 CEO인 미르완 수와르소(Mirwan Suwarso)도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.